후린 가문

덤프버전 : (♥ 0)


House of Húrin
섭정 가문
파일:후린가문 인장.png
곤도르 섭정의 인장[1]

1. 소개
2. 통치 섭정 이전 세대
3. 역대 통치 섭정들


1. 소개[편집]


레젠다리움에 등장하는 가문. 누메노르 출신의 명문가로 시조는 남 이실리엔에뮌 아르넨의 후린이다.[2]

미나르딜왕 이후 섭정직은 후린과 그 자손들이 계승하였고, 곤도르의 왕통이 단절된 이후로 이 가문이 곤도르를 통치하였다[3]. 마지막 섭정 데네소르 2세를 끝으로 통치 섭정의 시대는 끝나고 다시 국왕이 다스리는 시대가 돌아왔다. 후린 가문이 섭정직을 계승할 수 있었던 건 가문이 곤도르인들 가운데서도 누메노르의 혈통이 가장 짙었기 때문이다.

후린 가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12대 섭정 키리온의 치세 때 에오세오드인들과의 인연을 계기로 로한의 건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그들과 확고한 동맹 관계를 체결한 것이다. 이 동맹은 후일 사방에서 밀고 들어오는 사우론의 수하들에 의해 나라가 여러 차례 멸망할 뻔할 때마다 곤도르를 위기에서 구해주는 역할을 톡톡히하게 된다.

그 외 특징으로는 후린 가문 사람들의 이름은 대부분 제1시대에 활동했던 영웅들이나 전설적인 사람들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.

2. 통치 섭정 이전 세대[편집]



3. 역대 통치 섭정들[편집]


  • 왕이 다스리던 시절까지 포함하면 곤도르의 최초 섭정은 로멘다킬 1세시절 제정되었으며 세습이 아니었으나 후린 이후로는 세습으로 바뀌었다. 이후 펠렌두르, 보론딜을 거쳐 에아르누르가 실종되어 왕위가 공석이 된 제3시대 2050년부터 반지전쟁이 끝나는 제3시대 3019년까지 섭정들이 곤도르를 다스리게 된다.
  • 편의상 통치 섭정들을 아래에 기록하며, 마르딜을 초대 통치섭정으로 간주함.

역대 섭정즉위년일퇴위년일재위 기간주석
1대마르딜제3시대 2050년제3시대 2080년30년[4][5]
2대에라단제3시대 2080년제3시대 2116년36년
3대헤리온제3시대 2116년제3시대 2148년32년
4대벨레고른제3시대 2148년제3시대 2204년56년
5대후린 1세제3시대 2204년제3시대 2244년40년
6대투린 1세제3시대 2244년제3시대 2278년34년
7대하도르제3시대 2278년제3시대 2395년117년[6]
8대바라히르제3시대 2395년제3시대 2412년17년
9대디오르제3시대 2412년제3시대 2435년23년
10대데네소르 1세제3시대 2435년제3시대 2477년42년
11대보로미르제3시대 2477년제3시대 2489년22년[7]
12대키리온제3시대 2489년제3시대 2567년78년[8]
13대할라스제3시대 2567년제3시대 2605년28년
14대후린 2세제3시대 2605년제3시대 2628년23년
15대벨렉소르 1세제3시대 2628년제3시대 2655년27년
16대오로드레스제3시대 2655년제3시대 2685년30년
17대엑셀리온 1세제3시대 2685년제3시대 2698년13년[9]
18대에갈모스제3시대 2698년제3시대 2743년45년
19대베렌제3시대 2743년제3시대 2763년20년
20대베레곤드제3시대 2763년제3시대 2811년48년
21대벨렉소르 2세제3시대 2811년제3시대 2872년61년[10]
22대소론디르제3시대 2872년제3시대 2882년10년
23대투린 2세제3시대 2882년제3시대 2914년32년
24대투르곤제3시대 2914년제3시대 2953년39년
25대엑셀리온 2세제3시대 2953년제3시대 2984년31년
26대데네소르 2세제3시대 2984년제3시대 3019년35년[11]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27 06:47:04에 나무위키 후린 가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텡과르로 r nd r을 나타내는 문장이며, 별로 치환되어 있는 모음을 적절히 넣으면 아란두르(Arandur). 즉, 집사(섭정)라는 의미가 된다.[2] 이로 인해 가문의 정확한 명칭은 '후린 가문'이다.[3] 이들이 곤도르의 통치권을 찬탈했다는 해석이 있다. 다만 해당 글은 후린 가문이 흑막이란 걸 전제로 서술하고 있는 점을 주의하자. 친족분쟁 이후 왕이 다른 왕족들을 숙청한 공백을 틈타 후린 가문이 세습섭정으로 성장했다는 부분까지는 그럴 수 있지만, 나머지는 억지에 가깝다.[4] 통치 섭정의 시조. 보론딜의 아들.[5] 마르딜의 통치 이후 제3시대 2460년까지는 그럭저럭 평화가 지속되었다.[6] 가장 오래 다스린 섭정이다.[7] 계승자 시절, 오스길리아스에서 나즈굴을 격퇴했는데 여기서 부상을 입어 오래 통치하지 못하고 죽었다.근데 그게 20년이 넘어[8] 그의 재위 시기에(제3시대 2510년) 에오세오드인들이 칼레나르돈에 들어와 정착했다. 그들은 키리온을 도왔고 키리온은 기꺼이 에오를에게 칼레나르돈을 하사해 나라를 세우게 해주었다. 그 나라의 이름은 로한이 되었다.[9] 미나스 티리스의 백색탑을 보수한 섭정으로, 이 때부터 백색탑은 엑셀리온의 백색탑으로 불리게 된다.[10] 그가 서거하자 님로스 역시 시들어 버렸고, 엘렛사르 텔콘타르 왕이 돌아오기 전까지 새로운 묘목이 자라지 않았다.[11] 사실상 마지막 통치 섭정. 그의 뒤를 이어 통치 섭정이 된 파라미르가 바로 아라고른에게 통치권을 반환했다. 그 후에도 섭정 지위 자체는 계속 유지되었기에 섭정 가문으로서의 영향력은 제4시대에서도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.